경기일보로고
[전시리뷰] 첨단 기술로 담아낸 예술의 빛… 미구엘 슈발리에 '디지털 뷰티'
문화 리뷰

[전시리뷰] 첨단 기술로 담아낸 예술의 빛… 미구엘 슈발리에 '디지털 뷰티'

image
작품 옆 설치된 유리로 인해 공간이 무한정 확장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다빈기자

 

기술과 예술, 이질적인 두 세계가 만나 매일 새롭게 쓰는 디지털 아트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프랑스를 대표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미구엘 슈발리에가 선보이는 ‘디지털 뷰티’가 서울시 종로구 아라아트센터에서 지난 18일 개막했다. 아라아트센터 5개 층을 활용해 열리는 이번 전시는 14개의 설치 작품 외 드로잉, 다큐멘터리 등 총 70여점으로 구성돼 작품 미구엘 슈발리에의 갤러리 전시 중 가장 큰 규모다.

 

미구엘 슈발리에는 1980년대 이후부터 예술적 표현 수단을 오직 컴퓨터에만 집중한 작품들을 공개해 왔다. 홀로그램, LCD·LED 화면, 3D 프린팅 조형물 등 발달된 현재의 기술로 작품을 만든다. 

 

image
작품 '그물망 복합체'가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고 있다. 이다빈기자

 

전시의 묘미는 관람객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체험형 전시라는 점이다. 전시를 찾은 방문객들은 작품을 단순히 눈으로 관람하는 방식에서 나아가 작품 속에 녹아들고 직접 이를 만드는 등 작품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작품은 이를 이용하는 관람객의 고유한 몸짓에 따라 형태가 변해 매분 매초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지하 1층에 마련된 전시장에 들어서면 3면을 가득 채운 ‘그물망 복합체’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오늘날 우리가 맺고 있는 온‧오프라인 관계를 표현하고 싶었다는 작가의 말처럼 수많은 선이 얽히고 설켜 있다. 작품으로 가까이 다가가면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선은 깨져 나가기도 다른 모양과 다른 색의 선으로 변하기도 한다.

 

image
천장에 설치된 '라이좀'이 빛을 발하고 있다. 이다빈기자

 

지하 1층부터 지하 4층은 계단을 따라 내려가며 작품을 관람하게 돼 있는데 계단 바로 위 천장에 설치된 ‘라이좀’은 어느 층에서도 바라볼 수 있다. 1천500개의 강철 막대와 UV 라이트로 구성돼 있어 라이좀이 생성하는 빛이 전시장 전체를 아우른다. 불규칙하게 연결된 막대들은 ‘디지털 뷰티’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지하 3층에선 미구엘 슈발리에와 패트릭 트레셋의 협업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디지털 예술과 로봇 예술이 결합한 ‘어트랙터 댄스’는 5개의 관절형 로봇팔이 쉴 새 없이 드로잉을 한다. 로봇은 동일한 간격으로 동그랗게 설치된 채 깃털을 달고 움직여 마치 무대 위에서 군무를 펼치는 예술가를 연상시킨다. 1년여 이어지는 전시 동안 로봇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작품을 그려낼 예정이다.

 

어트랙터 댄스를 지나 옆에 위치한 룸으로 들어서면 로봇이 만들어낸 선들이 작품이 돼 방을 아우른다. 대형 스크린 양옆으로 설치된 통거울은 공간을 무한정 연장해 작품을 끝없이 이어지게 한다. 관람객은 마치 또 다른 세계에 놓인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전시장 말미에 설치된 ‘디지털 무아레’와 ‘매직 카페트’ 역시 눈길을 끈다. 1950~60년대 옵아트를 재현한 14m 높이의 디지털 무아레는 기하학무늬의 그래픽으로 화려하게 빛을 발한다. 그 아래 놓인 매직 카페트는 눈밭에 발자국을 새기듯 발걸음의 흔적을 남길 수 있어 재미를 더한다.

 

image
‘디지털 뷰티’ 포토월에 선 작가 미구엘 슈발리에. 아라아트센터 제공

 

지상 5층에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상설전시관이 운영되고 있다. 여기서는 꽃이 피어나고 자라는 순서를 대형 화면에 담아낸다. 여덟 개의 꽃이 피고 지는 사이클을 통해 사람의 탄생과 삶, 죽음을 바라볼 수 있다. 최첨단 기술을 통해 담아낸 작가의 이야기는 단편적인 기술도 단순한 화려함도 아닌 삶과 자연, 사람이다. 

 

전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미구엘 슈발리에는 “오늘날 우리가 쉽게 접하거나 볼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담아내고 싶었다”며 “작품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이 관람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2024년 2월11일까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