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전시리뷰] ‘죽음을 대하는 선조들의 마음’…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
문화 리뷰

[전시리뷰] ‘죽음을 대하는 선조들의 마음’…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

image
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 전시 전경. 송상호기자

조선 시대 장례 문화를 수놓은 ‘지석’에 적힌 글귀를 음미하다 보면, 당대 사대부들의 살아 생전 모습들이 생생하게 다가온다. 글씨를 써서 남긴 이들이 죽은 이의 삶을 정확하게 기록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올곧은 정신, 삶을 대하는 태도를 정성껏 추모하는 글자 속에서 발견한다. 경기도박물관의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이 지난 7일부터 개막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국내의 공립박물관 가운데 지석을 최다 소장한 도박물관이 조선시대의 지석들을 한데 모아 선보이는 자리라는 점에서 뜻깊다. 1부 ‘예禮를 다하다’, 2부 ‘삶을 기록하다’, 3부 ‘경기사대부의 정신을 잇다’의 구성을 통해 관람객들은 지석의 의미와 유래, 시대별 지석 생산 문화의 변천, 그리고 그에 담긴 사대부들의 삶과 후손 이야기 등을 차례로 만나게 된다.

지석은 죽은 이의 인적 사항과 무덤의 위치 정보 등을 적어 넣어 시신과 함께 매장하는 도자기판 내지는 판판한 돌이다. 기원전 3세기께 중국 진나라 때 등장한 지석 문화는 국내에선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널리 유행했다. 고려 때의 지석은 돌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고 불교식 화장 문화와 혼합되기도 했다. 조선 때에 이르면 유교 문화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는데, 계층에 따라 재질이 다르게 생산됐다.

유교를 통치 이념 삼았던 조선 시대에 편찬된 ‘국조오례의’에는 ‘주자가례’(사람이 일생 동안 거치는 관혼상제 예절을 다룬 책)에 따른 장례 절차와 기준 등이 수록됐고, 그 속에 지석 제작과 매납 방식에 대한 내용이 발견된다. 경기도에서 출토된 지석에서는 조선시대 국가 운영의 핵심이었던 사대부들의 삶과 가치관, 그들의 죽음을 둘러싼 태도 등을 접할 수 있다. 2부 전시장에선 소재와 제작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의 지석을 만난다. 음각, 상감, 청화, 철화 등 글씨를 새겨넣는 방식이 다채롭다. 이를 통해 조선 시대의 선조들이 시기와 상황에 맞춰 효와 예의 도리를 다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특히 ‘주자가례’의 원칙을 계승한 조선후기의 지석에는 정갈하고 단정한 멋이 깃들어 있다. 뿐만 아니라 지석을 통해선 사대부의 생전 행적뿐 아니라, 사대부들을 떠나보내는 남은 이들의 비애와 태도를 함께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사료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image
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 전시 전경. 송상호기자

지석의 제작 시기를 파악하는 작업은 그 집안 가세의 영향력과 수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3부를 수놓는 5개 가문의 지석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관람객들은 조선의 정치, 사회, 문화에 자취를 남겼던 사대부들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청송심씨 사평공파, 풍양조씨 화양공파, 기계유씨, 남양홍씨 등이 그들이다. 조선의 지석 문화가 이들 같은 사대부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살피는 데 있어 공통 분모가 된다는 데서 전시의 의의가 엿보인다.

김기섭 경기도박물관장은 “지석에 새겨진 사대부의 생전 모습들, 먼저 떠나간 사람를 향한 남은 이들의 마음을 살펴볼수록 나 자신을 돌아 보게 된다”며 “지석을 매개로 경기 사대부의 내면과 생각을 조명하는 이번 특별전이 우리가 그들에게서 어떤 정신을 이어 받아야 하는지 고민하는 통로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내년 3월26일까지 열린다.

송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