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현자유시장 재개발 지지부진
					비 오면 물 줄줄, 벽면 쩍쩍… “16년째 불안과 삽니다”
					
				

“재개발을 한다하니 집도 못고치고, 불안하고 위태롭게 매일매일 살아요.” 19일 오전 10시께 인천 동구 동인천역 북광장 인근 송현자유시장. 시장 안 상가 건물 곳곳에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금이 가 있는 등 곧 무너질 듯 위태롭다. 오성극장은 건물 부식이 심하고, 일부 건물은 아랫쪽으로 무너져가고 있다. 이미 이 곳은 지난 2010년 재난위험시설로 D등급을 받았지만, 재개발에 묶여 아무런 보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장 골목 안 천장에는 무너지지는 것을 대비해 합판으로 임시 가벽을 만들기도 했다. 상인들은 비가 오는 날이면, 점포에 물이 샌다고 토로한다. 의류점을 운영하는 호석현(가명·70세)씨는 “16년째 개발한다는 말만 나올 뿐, 여전히 그대로”라며 “상인 대부분이 그냥 위험속에 장사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인천의 대표적 원도심인 동인천역 주변 재개발 사업이 16년째 지지부진하다. 시장 건물 노후화로 찾는 손님이 줄어 매출은 하락하는 등 상인들의 피해가 크다. 이 때문에 현재 시장 점포 220곳 중 91곳만 영업을 하는 등 장사를 접는 상인은 늘어만가고 있다. 1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07년 동인천역 일대 재개발 사업이 시작했지만 10년이 넘도록 사업성 부족 등으로 한 발도 나가지 못했다. 결국 시는 지난 2020년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 시범 사업으로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 사업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역세권 복합개발사업과 함께 역 주변, 중앙시장, 상가, 주택가 등의 정비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3년째 상인들과의 보상문제 등이 얽혀 사실상 멈춰 서있다. 송현시장 상인 220명이 속한 ㈜중앙상사는 현실적인 여건에 맞는 보상과 42%에 달하는 세금 감면을 요구하고 있다. 시는 보상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국토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취소하려했지만, 국토부 심의를 받기 어렵자 사실상 방치 중이다. 지역 안팎에선 시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난 2020년부터 추진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프로젝트’를 본 궤도에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시가 원도심 활성화를 목표로 직접 나서 공공개발로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10년 넘도록 민간 개발의 시도가 있었지만, 수익성이 낮아 여러차례 좌초했기 때문이다. 임관만 인천시의회 건설교통위원장(국민의힘·중구1)은 “제물포 르네상스 등 시가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서는 동인천역 문제부터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시가 직접 인천도시공사(iH)와 함께 나서서 직접개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의 목소리 chevron_right

“장 보려고 옆 동네까지 간다” 파주 농산물센터, 4년째 공사 스톱

“기초 파일공사만 해놓고 공사가 4년째 멈췄습니다. 짓겠다는 건지, 짓지 않겠다는 건지 알 수 없습니다.” 6일 오후 2시께 파주시 와동동 1518번지 운정1∼2지구 내 농협하나로유통의 운정농산물종합유통센터(농산물종합센터) 신축 현장. 이곳에서 만난 시민까페모임인 운정신도시연합회 이승철 회장이 가리킨 곳에선 철제 펜스만 설치된 채 공사 차량이 한 대도 출입하지 않고 있었다. 주위에 아파트들이 속속 건축되거나 입주가 본격화하고 있으나 농산물종합센터 신축 현장은 사방이 고요했다. 인근 고층아파트에서 내려다본 현장은 둠성듬성 기초파일만 심어 놓았고 마른 수풀만 무성해 장기간 공사가 중단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인허가 알림판이 부착된 녹슨 철문만이 현장을 지키고 있었고 현장 주변은 불법 주차가 난무했다.  파주 운정1∼2지구 내 농협하나로유통의 운정농산물종합유통센터 신축 현장이 수년째 공사가 중단된 채 방치되고 있어 입주민들이 원거리로 장을 보러 가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농협하나로유통은 운정농산물종합센터를 건립하기 위해 2013년 파주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당시 800여억원을 들여 2015년까지 건립하기로 했다. 2만6천572㎡에 지상 2층, 전체 면적 1만1천550㎡ 규모로 농산물직판장, 도소매점, 집배송장 등을 갖추기로 했다. 이어 2015년 9월 파주시와 투자협약식을 열면서 2018년까지 운정신도시에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제때 지켜지지 않고 있다. 그러다 농협하나로유통은 2017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건립 부지를 매입, 소유권을 이전한 뒤 2018년 12월 파주시로부터 인허가를 받은 뒤 착공계까지 냈지만 대내외 경제 침체로 인한 사업성 악화로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해 공사 시작 1년이 지나지 않은 2019년 12월 공사가 중단됐다.  이승철 회장은 “운정1∼2지구 입주에 맞춰 열겠다고 약속한 뒤 건립 인허가를 받은 농협하나로유통이 지금까지 화장실 하나 짓지 않고 있다”며 “신뢰가 생명인 농협이 입주민 장보기 편의를 내팽개친 불신용 행태”라고 꼬집었다. 이어 “농협은 타 농협하나로마트 지점들의 매출 감소와 경쟁 업체들과의 출혈 경쟁으로 운정농산물종합센터 건립공사를 잠정 중단했다고 파주시에 알렸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공사가 중단되자 입주민들은 허탈해하고 있다.  운정1∼2지구 가람마을 및 해오름마을 입주민들은 “농협이 농산물종합센터를 짓겠다는 보도를 접하고 입주했는데 수년째 짓지도 않는다”며 “운정점이 건립되기 전까지 차로 20분 거리인 고양시 대화동 농협하나로마트를 이용하고 있다. 언제까지 장보기를 남의 동네에서 해야 하느냐”고 언성을 높였다. 시 관계자는 “조속히 공사가 재개되도록 행정사항을 적극 협력하고 있다”며 “인근에 신교하농협의 하나로마트 조기 개점 등 주민 편의를 돕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