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물 수난시대
					가족이라더니... '年 5천마리' 버림받는다
					
				

“반려동물을 너무 쉽게 사고 버리다보니, 철창 속 유기동물만 늘어나요.” 8일 오전 9시께 인천의 한 유기동물보호센터. 보호소의 철창 30여개는 버려진 강아지와 고양이들로 가득하다. 사실상 유기동물로 센터가 ‘포화 상태’다. 이들 유기동물은 모두 인간의 손을 타고, 버려진 동물이다. 이 때문에 철창 안에서 자원봉사자를 바라보며 짖는 등 울음소리를 내거나, 발을 내미는 등 사람의 사랑을 구하는 몸짓이 끊이지 않는다. 철창에 갇혀있는 유기동물 중 일부는 질병 등으로 인해 상태가 좋지 않다. 흰색 털의 강아지는 온 몸이 피부병으로 인해 붉게 물들어 있고, 또 다른 강아지는 엉덩이 주변 털에 대소변이 뭉쳐있기도 하다. 태어난지 1개월여가 지난 새끼 고양이 15마리가 있는 철창은 대소변 등으로 인한 비위생적 환경에 놓여있기도 하다. 이 곳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김동훈씨(35)는 “매일 너무 많은 유기동물이 센터로 들어와 지금의 센터 인력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모두 주인을 찾아 따뜻한 가정에서 살아야 하는데, 이들이 버려지는 사실에 너무 안타깝다”고 전했다. 센터의 한 관계자는 “사실 유기동물을 버리는 것에 대한 강력한 법적 제재가 있어야 한다”며 “반려동물을 사 키우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지만, 이후 버리는 것은 동물학대라 사실상 범죄”라고 했다. 인천지역에서 매일 15마리의 반려동물이 버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를 보호센터가 모두 수용하지 못하면서 유기동물들이 열악한 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 인천시의 인천지역 유기동물 발생 건수 등을 분석한 결과, 2020년 6천469마리, 2021년 5천928마리, 지난해 5천787마리 등 해마다 5천여마리의 반려동물이 버려지고 있다. 지난해 유기동물 중 지역별로는 부평구가 1천118마리로 가장 많고 서구 1천53마리에 이른다. 이어 중구 745마리, 강화군 668마리, 남동구 584마리, 미추홀구 570마리, 계양구 564마리, 연수구 260마리, 옹진군 128마리, 동구 97마리 순이다. 하지만 인천지역 유기동물보호센터 등 12곳의 보호소는 사실상 포화 상태에 놓여있다. 옹진군과 미추홀·연수·남동구 등에서는 유기동물 보호소가 전혀 없어 인천광역보호소 1곳에 몰아서 보내고 있다. 대부분 군·구는 주민 민원과 부지 확보가 쉽지 않다는 이유로 유기동물 보호센터 설치는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한 보호소 관계자는 “보호소마다 장소와 인력은 한계가 있다보니, 유기동물의 보호 환경은 열악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웅종 연암대학교 동물보호계열 교수는 “유기동물 수에 따른 인력과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이 같은 상황은 더욱 악화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1천만 반려동물 시대인 만큼, 지자체들이 유기동물 보호소 확충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보호소의 직영화 등을 통해 공공 관리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유기동물 보호소 등이 부족하고, 환경 또한 열악하다는 것은 알고 있다”며 “현재 유기동물 입양센터 등을 운영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현장의 목소리 chevron_right

경기 광주서 열받은 땅주인 돌연 ‘길막’… 주민만 ‘골탕’

“수십년간 통행해 오던 도로가 좁아지니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4일 오전 11시20분께 광주시 오포읍 신현동에서 광남동으로 이어지는 현황도로. 강남300CC에서 광남동 방향으로 영광제일교회를 500여m 앞두고 굽어진 내리막길로 들어서자 도로 중앙을 가로막고 있는 허연 물체가 눈에 들어왔다. 너비 6m 도로 중간에 높이 1.5m로 160m에 걸쳐 설치된 펜스다. 간신히 승용차 한 대가 통행할 수 있는 공간만 남아 있어 차량 교행은 불가능하다.  좁아진 도로 탓에 차량 한 대가 직진하는 것조차 버겁다. 마주 오는 차량이라도 만나면 오도 가도 못한다. 펜스 반대편  도로변은  깎아지른 낭떠러지다.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좁아진 도로를 통행하던 차량이 펜스를 들이받는 사고도 발생했다. 좁아진 도로에 진입했다가 차량을 긁은 사례도 여러 건이다. 광주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해당 도로는 주민들은 수십년간 현황도로로 이용해 오고 있는데 1995년 인근 강남300CC가 들어서면서 임도로 사용하고 있다. 2000년에는 주민 요구로 선형개량 공사도 진행했다.  신현동 주민들은 출근시간대인 오전 8, 9시 이 도로를 통해 인근 3번 국도(성남~장호원 간 고속화도로)로 이동해 성남과 서울 등으로 이동하지만 지난달 14일 도로 중간에 펜스가 설치돼 사실상 차량 교행이 불가능해지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경찰은 출근시간 인원을 투입해 교통정리에 나서고  있다. 주민들은 “30여년간 사용해 온 현황도로다. 콘크리트로 포장돼 있다. 도로변에는 안전 펜스도 설치돼 있다. 누가 봐도 도로다. 갑자기 통행이 어려워지게 되니 불편하다”고 호소했다. 목동 산 62-2번지 일원에 설치된 펜스는 토지 개발을 놓고 시와 갈등을 빚어 오던 토지주가 재산권 행사를 주장하며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최근 도시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개발행위적용기준 변경(기준지반고→해발표고)을 추진 중이지만 변경된 기준에도 해당 토지는 표고가 높아 개발행위가 불가능한 상황을 인지하고 실력 행사에 나선 것이다. 해당 토지주 측은 “단순히 재산권을 행사하겠다는 차원이 아니다. 관리 주체를 명확히 하자는 것이다. 시에 법정도로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상복구 명령과 고발, 행정대집행 등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수십년간 현황도로로 사용해온 만큼 법정도로로 인정할 수 있는지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