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공급 불안이 생기면서 에너지안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에너지 자원 보유 국가들은 에너지를 무기 삼아 다른 국가들을 위협하기까지 하고 있어, 에너지 확보는 각국 정부의 자원·안보·경제·통상 등 정책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존의 ‘에너지 안보’ 개념은 여러 가지인데, 미국의 경우 셰일오일·셰일가스를 적극 개발해 미국 본토에서 더 많은 원유·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것을 의미하고, 중국은 중국 내에서 석탄 등의 생산을 늘리면서 해상로를 확보해 중동산 원유를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이었다. 그러나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전기차와 배터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즉, ‘에너지 안보’는 에너지를 외부에서 수입하지 않고도 얼마나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게 됐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전력수급계획(제10차, 2023.1.12)에서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는 계획을 세웠다. 또 필리핀, 모잠비크 등 자원부국과 양자 공급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계획을 세우고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중동지역과는 원전수출, 수소·재생 에너지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통상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의 경우 유럽의 영국·독일·벨기에·프랑스·폴란드·체코·핀란드 등 여러 나라가 원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에너지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원전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전을 통해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탄소배출 절감에 도움이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 등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자 에너지 수입가격이 상승해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무역수지 적자는 472억3천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한 해 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이 전년 동기 보다 784억달러 늘어난 1천908억달러에 달했다.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지 않았더라면 30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볼 수 있었다는 의미다. 튼튼한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에너지와 발전원 믹스(mix)를 최적화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정한 목표 설정과 석탄 등 화석연료 의존도 경감, 그리고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력공급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정부 부처 중심의 ‘자원안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자원개발, 도입, 생산, 비축, 수출입, 재활용, 시장 모니터링의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해 에너지안보 기반을 다져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
경기일보
2023-03-14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