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정부의 200만가구 주택 공급을 위해 조성하기 시작한 1기 신도시(분당, 평촌 등)와 2기 신도시(판교, 위례 등), 3기 신도시(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는 거의 모두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택 문제의 해결책은 대부분 경기도에서 찾을 수밖에 없어 보인다. 그만큼 경기도가 주택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밖에 없고 경기도민의 적정 주거공간 확보를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고민과 함께 저렴주택(Affordable Housing)의 현실을 한 번쯤 돌아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주택업무편람(2022년)에 의하면 ‘20년 기준 한국의 임대주택은 326만가구이며, 이 중 중앙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약 40%인 129만가구(경기 남부지역 24만가구)를 차지하고 있고 지방공기업이 약 10%(31만가구), 민간이 약 47%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부담 가능한 수준의 주거비에 국민임대, 행복주택, 영구임대, 매입임대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원시 등 지자체와 함께 자립준비 청년층이나 학대 피해자의 긴급피난처 등을 공공임대주택으로 지원하면서 더욱 촘촘한 안전망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앞으로 경기도민의 적정 삶의 공간 마련을 위한 몇 가지 바람을 적어본다. 우선 경기도내 다양한 주체들 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요구된다. 영국의 경우 임대주택 891만가구 중 지방정부가 약 18%(158만가구)를 직접 보유하고 있어 지역주민의 주거안정에 기여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지방정부의 역할이 미미하다. 또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체계적인 협업과 참여가 있어야 한다. 1기 신도시 재정비의 체계적 준비와 원도심의 단계적 정비 방안 마련, 3기 신도시의 원활한 조성을 위한 중앙과 지방정부, 공기업, 민간, 주민, 전문가의 협력적 거버넌스와 적극적인 참여 과정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공급 전환하기, 공적임대주택에 대한 인식 개선과 소셜믹스 노력, 근로 외국인과 청년층의 주거안정 방안, 최저주거 기준을 상회하는 충분한 주거 공간 제공 방안, 현재 6곳에 불과한 경기도내 주거복지센터 설치 확대 방안 등도 앞으로 추가적으로 논의해야 할 부분이다.
오피니언
경기일보
2023-03-02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