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생들의 자살ㆍ자해 등의 위기학생이 증가하면서 한시적으로 출범한 경기도교육청 ‘학생위기지원단’의 상시기구 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경기도육청에 따르면 가정불화, 우울증, 성적비관 등으로 인한 경기도 학생자살 수는 2015년 24명, 2016년 27명, 2017년 34명으로 증가 추세다. 이같이 학생 자살 예방 및 관리ㆍ대처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도교육청은 지난해 5월 교육감 직속기구로 사무관 1명과 장학사 3명, 위기상담전문가 1명, 주무관 2명 규모의 1년 한시 기구인 ‘학생위기지원단’을 출범시켰다. 지원단은 그동안 전국 최초로 초·중등용 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학생위기지원 연수를 진행해왔다. 도교육청은 지원단 출범 직후 “기존의 학생위기 지원기능을 통합해 총괄적 지원 및 조정, 관련부서간 협력체계 구축으로 학생위기의 예방적 기능을 담당하고 학생자살 등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고 전문적인 개입을 통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적기에 지원하게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도교육청이 공언한 대로 지원단이 제대로 작동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과 인력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다. 내년 5월까지 연장 운영된 지원단은 올해 학생들의 정신과 치료를 돕기 위해 병원형 학생상담지원시설 ‘Wee센터’ 4개소를 하반기 마련할 계획이다. 또 자살고위험군 또는 자해, 자살 시도 학생을 위한 심리상담비(1인당 최대 100만 원)를 지원하고, 학부모 대상 자살 예방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 중이다. 그런데 올해 예산은 9억8천만 원에 불과하다. 출범 첫해 예산은 1억 원이 전부였다. 게다가 지원단 직원 9명이 도내 2천400여 개 학교의 151만 명의 학생 정신건강 전반을 커버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이야기다. 이에 교육전문가들과 교육청 안팎에선 현재 일종의 ‘별동대’처럼 운영되고 있는 지원단을 조직개편을 통해 상시 조직으로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지난해 구성된 학생위기지원단에서 학업중단 예방, 학생정신건강관리, 위기(Wee 프로젝트), 학생자살 예방 및 대응과 관련 업무들을 통합해 추진하고 있다”며 “학생위기지원단 설립이 도교육청의 위기학생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달체계 구축인지에 대해 추후 그 운영과정 및 결과를 주목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현숙기자
사회
강현숙 기자
2018-09-12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