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행사에 빼앗긴 축구장?

부천시가 시민들의 여가활용과 체육활동을 위해 조성한 축구장을 아무런 공지사항도 없이 4월부터 8주 동안 선점예약해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5일 시와 시민들에 따르면 오정구 대장동 북부수자원생태공원 부지에 하수처리장을 포함해 인조잔디 축구장(107m70m) 1개면과 농구장 2면, 인라인스케이트장 1곳, 파크골프장 1곳 등의 체육시설이 조성돼 있다.체육시설을 이용하려면 매월 1일 오전 10시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 접수한 뒤 축구장의 경우 평일 6만원, 주말 8만원, 조기축구에는 평일 4만원, 주말 5만원을 입금한 후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축구장의 경우 아무런 공지사항이 없이 지난 4월17일부터 5월29일까지 매주 토일요일 부천시장 명의로 예약돼 있어 시민들이 축구장이 부천시장 개인 축구장이냐며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또 시 홈페이지 시민자유게시판에는 황금같은 일요일 많은 동호회들이 이용하는 북부수자원생태공원 내 인조잔디구장이 부천시장님 명의로 장기간 예약되어 있다며 공공기관이 우선 사용권한이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은데 정말 양심도 없다고 불만의 글이 게재됐다. 또 다른 시민은 시에서 주관하는 행사가 있으면 홈페이지에 공지 팝업창을 올려 시민들을 이해시키는 배려가 있어야 한다며 시민이 시장이라는 김만수 시장의 슬로건은 그저 말뿐인 것 같다고 말했다.이에 시 관계자는 시 조례 상 자치단체 행사의 경우 우선 예약이 가능하다며 민원이 제기돼 부천시장 명의로 예약된 축구장 이용현황을 오정구청과 원미구청으로 변경했다고 말했다. 한편 부천시 하수과는 취재가 들어가자 당일(4일) 오후 5시께 부천시장 명의로 되어 있는 축구장 예약건을 해당 구청 명의로 변경했다. 부천=김성훈기자 magsai@ekgib.com

고양 테마동물원 가는길…주말마다 ‘거대한 주차장’

경기북부지역의 대표적인 유원지 중 한 곳인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테마동물원 쥬쥬에 어린이날을 맞아 나들이객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주변 도로가 극심한 정체에 시달렸다. 특히 시는 민간운영 시설이라는 이유로 동물원 측의 주차장 확보 요구에 난색을 보이고 있어 동물원 방문객은 물론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5일 테마동물원 측에 따르면 이날 동물원을 방문한 나들이객은 1만 5천여 명으로 차량으로 환산하면 4천여 대에 달한다. 그러나 개장 2시간 만인 오전 11시에 이미 수용 가능 300여 대에 불과한 동물원 자체 주차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동물원에 진입하지 못한 차들이 갓길에 주차하거나 인근 원당화훼단지와 하천변에 주차하는 등 극심한 주차전쟁이 벌어졌다. 또 오전 9시부터 동물원으로 진입할 수 있는 시도 69번 도로(2차선)의 정체가 꼬리를 물기 시작해 인근 관산동과 원당 시청 앞 도로까지 4~5㎞ 구간이 온종일 교통정체에 시달렸다. 이 같은 현상은 어린이날뿐 아니라 성수기 주말마다 되풀이되고 있지만 시는 법적 주차대수 외에 주차장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02년 동물전문 박물관으로 문을 연 테마동물원 쥬쥬는 연간 3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경기북부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시설 확장을 위해 2008년 국토해양부로부터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승인받고 고양시 도시계획시설로 결정돼 증설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주변이 모두 개발제한구역이라는 이유로 사설주차장 설치가 불가능해 시가 공영주차장을 설치하는 방법 외에는 해결책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동물원 관계자는 동물원 준공 승인이 내년 말로 다가오고 있지만, 지금처럼 주차장이 확보되지 않으면 증설된 시설물의 사용승인이 불가능해 최악에는 동물원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며 안타까워했다.이어 국내 대부분 동물원이 지자체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시는 민간이 운영한다는 이유로 주차장 설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하남주민 73.4% “무상급식 만족”

하남시가 전국 최초로 13개 초등학교 전교생에 대해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주민 10명 중 8명 이상이 무상급식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와이드리서치가 지난달 27일 주민 1천137명(유효표본)을 대상으로 하남지역 초등학교 무상급식과 관련해 ARS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최대 허용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9%p다. 조사결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경우 74.7%가 무상급식 시행을 알고 있었으며, 다른 연령층보다 30대(84%)와 40대(73.6%)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만족도 조사에서는 무상급식을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는 주민이 73.4%(매우 만족 39.3%, 대체로 만족 34.1%)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인지도 조사인 무상급식 시행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55.0%가 알고 있다, 45.0%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알고 있다는 응답자 중 남성(49.2%)보다 여성(60.7%)이, 40대 연령층(66.8%)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초등학교 급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우수 식재료 사용 41.1%, 올바른 식생활 교육 24.4%, 식중독 등 급식사고 예방 16.2%, 급식의 맛 5.0% 순으로 응답했다.와이드리서치 관계자는 응답자 10명 중 6명이 무상급식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은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초기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고 진단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ekgib.com

안성 관내 개발사업 “지역건설업체 우선”

안성시가 관내에서 이뤄지는 각종 개발사업에 지역건설업체를 일정한 한도 내에서 참여시키기로 했다.5일 시에 따르면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건설업체를 위해 일정한 한도 내에서 공동도급과 하도급에 지역건설업체를 적극 참여시키기로 했다.시는 지역 내 각종 개발사업 때 법적 규정 내에서 대형건설업체와 지역건설업체 간 상호 공동도급 비율을 49%까지 한정하고 공사에 적극 참여시키기로 했다.또 하도급 비율을 50% 이상 높이고, 차량과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지역 내 등록 차량이나 장비를 우선 사용토록 했다.시는 지난해 11월 제정한 안성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지원 조례 활성화를 위해 지역업체 간 과다한 경쟁을 자제하고 건설 부조리, 부실공사를 막기로 했다.이와 관련 시는 우수 건설업체 포상 및 시정소식지에 홍보하고, 주요행사와 각종 문화행사시 공연 초대권 등을 지급하기로 했다.그러나 우수 건설인이 중대한 산업재해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부도, 기업윤리 위배 등 시가 정한 기준을 위반한 경우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다.황은성 시장은 관계 법령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 건설업체 참여를 추진하게 됐다며건설경기가 살아야 지역경제도 활성화되는 만큼 건설업체 참여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1112@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