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제2중부고속도로 마장프리미엄 휴게소, 반려견 카페 오픈

제2중부고속도로 마장프리미엄 휴게소에 반려견 카페가 문을 열었다.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는 최근 제2중부고속도로 마장프리미엄 휴게소(이천시 소재)에 반려견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반려견 동반 카페와 식당, 야외놀이터 등으로 구성된 특별한 쉼터를 오픈했다고 25일 밝혔다. 반려견 카페인 ‘옐로우스탑’은 연중무휴 오전 8시부터 오후9시까지 운영한다. 반려견과 함께 커피 등 음료를 즐길 수 있으며, 반려견 간식 100여종과 여행용 물병·식기, 의류 등 다양한 반려동물 용품도 판매한다. 특히, 이곳에는 고속도로 최초로 반려견 동반 식당공간을 조성, 테이블마다 반려견 전용 테이블과 유모차가 구비돼 있어 보호자들이 반려견을 바로 옆에 두고 식사를 할 수 있다. 식당 옆에는 인조잔디로 꾸민 약 660㎡ 규모의 반려견 놀이터를 무료로 개방하고 있다. 이 놀이터는 대형견과 소형견 공간으로 분리한데다 추억을 기념할 수 있는 포토존도 있다. 도공은 반려견 호텔과 미용실 등 천만 반려인들을 위한 특화 서비스를 지속 도입할 예정이다. 도공 수도권본부 관계자는 “휴게소가 잠시 쉬러가는 곳이 아닌 오랫동안 머물며 먹고 즐길 수 있는 이색휴게소를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시·국힘 하남시 당협, 서울시에 대중교통 대책협조 요청

이현재 하남시장과 이창근 국민의힘 하남시당원협의회 위원장이 하남의 대중교통대책 등을 풀기 위해 모처럼 하나로 뭉쳤다. 14일 시와 국힘 하남시 당협에 따르면 이 시장과 이 위원장은 최근 서울시를 방문,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위례신사선 하남연장 등 신도시 대중교통대책 마련을 위한 서울시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미사·위례·감일·교산 등 하남 신도시에는 서울시민 입주 비율이 70%이고 대다수 입주민이 서울로 출근하는 만큼 교통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의 도시기반시설인 광역상수관로, 동서울변전소 등이 하남시에 입지해 시민들이 직·간접적 재산권 제한 등의 불편을 감당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서울시도 하남시의 대중교통 등 현안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남시 신도시 대중교통 주요 대책은 ▲9호선과 3호선 하남연장 ▲서울시 도시철도 혼잡률 기준적용 완화 ▲감일·위례지구 버스 증차 ▲위례신사선 하남 연장 등이다. 특히, 시는 K-스타월드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서울탄천물재생센터에서 처리되도록 위탁량 증량과 하남시 주민이 이용 가능한 강일역 환승센터 사업 조속한 추진도 건의했다. 앞서 이 위원장은 지난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오세훈 후보의 공보단장과 시장 취임후 서울시 대변인을 맡는 등 오 시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경기도민분들이 서울로 출퇴근할 때 겪는 교통불편을 줄여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대중교통 문제에 대해서는 세밀하게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하남 미사경정공원 '바비큐 비어 페스티벌' 관련 안전관리위원회 개최

하남시가 미사경정공원 바비큐 비어페스티벌(하남 BBF) 관련 안전관리위원회를 열고 안전문제를 논의했다. 해당 행사는 26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미사경정공원 일대에서 펼쳐진다. 14일 하남시에 따르면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하남 BBF는 비비큐와 맥주, 피크닉을 접목한 아웃도어형 페스티벌로 시간과 장비 등 많은 부담이 드는 캠핑과 달리 도심에서 가족과 연인이 휴식과 낭만을 즐길 수 있는 페스티벌이다. 하남 BBF는 수려한 미사경정공원의 경관과 더불어 약 70여개의 F&B 부스를 비롯해 다양한 맥주 브랜드가 참여한다. 대한아웃도어바비큐협회가 함께 참여해 국내 바비큐 전문가가 준비한 다양한 대형 바비큐 그릴을 선보인다. 바비큐 플래터, 꼬치 그리고 숯불의 간접열로 장시간 조리가 필요한 아사도 바비큐를 준비하는 등 다양한 바비큐를 경험할 수 있다. 먹거리는 물론 가요, 록, 인디 등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 60여 팀이 출연하는 공연도 선보인다. 앞서 최근 열린 하남 BBF 안전관리위원회에는 이현재 시장을 비롯해 배석환 하남경찰서장, 이제철 하남소방서장 등 유관 기관장 7명 외 안전관리자문단으로 전기, 건축 분야 전문가들도 참석했다. 특히 맥주와 함께하는 축제인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행사계획 및 부대행사 적정성, 안전관리 조직 구성, 운영, 구조 및 구급, 행사장 안전관리대책 및 비상 대피로 확보 등 세부 계획도 검토했다. 주관사는 심의과정에서 도출된 안전관리 의견을 반영해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현재 시장은 “경찰 및 소방당국의 적극적인 협력과 안전이 최우선인 행사가 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하남시 “신도시개발→공공시설 인수↑…공유재산 10년前比 3배 늘어”

하남시 공유재산이 잇따른 신도시 개발에 따른 공공시설과 기반시설 등의 인수 여파로 10년전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의 공유재산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5천809필지 596만4천470㎡에 공시가격으로는 3조4천462억원에 이른다. 지목별로는 ▲대지 459필지(1만4천147㎡·1천773억원) ▲전 441필지(7만2천246㎡·324억원) ▲답 374필지(7만977㎡·357억원) ▲임야 301필지(70만1천730㎡·490억원) ▲기타 4천234필지(497만9천368㎡·3조1519억원) 등이다. 시의 공유재산 면적은 구시가지 덕풍1·2·3동 전체를 합한 것보다 1.5배가 넘는 규모다. 특히 10년(2013년 12월말 기준)전 4천430필지(315만219㎡·8천113억원)에 비해 1천379필지 늘어났다. 면적은 89% 증가한 281만4천251㎡, 공시가격는 3배(325%)가 넘는 2조6천349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는별도로 공유재산 건축물은 시청사와 행정복지센터 14곳, 문화재단, 국민체육센터 등 120여동에 이르고 있다. 10년 전보다 공유재산이 크게 늘어난 주요 원인은 지난 2017년 준공된 미사강변도시를 비롯해 감일·위례신도시(하남권역) 등 신도시 개발에 따른 공공시설과 기반시설·공원 등을 인수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 관계자는 “10년 전에 비해 공시지가가 상승한 측면도 있지만 잇따른 신도시 개발에 따른 공공시설과 기반시설 등을 LH 등으로부터 인수하면서 공유재산 규모가 늘어났다”며 “공유재산 증가에 따른 재산관리 관리업무도 크게 늘어나 현재 업무가 과중한 상태”라고 말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