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영종·송도 등의 갯벌에 대한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 등록이 본격화한다. 하지만 이들 지역 주민들은 각종 개발사업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어, 주민과의 갈등 해결이 시급하다.
25일 시에 따르면 최근 2억9천689만원을 투입해 인천갯벌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권고에 따른 지역갈등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인천갯벌 보전 및 이용방안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시는 강화·영종·송도갯벌 등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에 등록할 등재후보지 구역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는 한국의 갯벌 1단계 등재지역의 참여 이유를 분석하고, 인천갯벌 안의 등재후보지 구역 설정을 제안할 계획이다.
시는 또 이를 위한 등재후보지 지역주민 의견수렴과 지역별 우선순위도 정립한다. 이어 등재후보지에 대한 중요성과 관리방향에 대한 것도 살핀다.
시는 갯벌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그린다. 현재 인천갯벌에는 이용 구역과 보존 구역이 혼재해 있다. 이로 인해 시는 갯벌에 대한 주민들의 체험프로그램 등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갯벌의 생태·환경적 가치 뿐 아니라 사회발전에 따른 갯벌의 이용측면에서 사회·경제적 가치를 고려한 효율적인 갯벌관리 방향을 설정한다.
특히 시는 지역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는 데에 부딪히고 있는 주민 반발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유네스코는 오는 2025년까지 영종·강화·송도 등 인천갯벌까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할 것을 권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는 기초지자체를 비롯한 지역주민 반대로 인해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기초지자체와 지역주민을 설득할 수 있는 인천갯벌의 맞춤형 이용방안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갯벌을 품고 있는 기초지자체의 호응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송도갯벌은 저어새 등의 조류를 볼 수 있는 탐조관광지로, 영종갯벌은 어패류 등을 채취할 수 있는 체험관광으로 연계할 구상이다. 또 강화갯벌에는 머드축제 등 지역활성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앞서 시와 문화재청이 강화갯벌에 대한 세계자연유산 등록을 추진했으나, 강화군과 지역주민의 반대로 잠정 중단했다.
게다가 시는 강화 남단의 경제자유구역 확대 등을 통한 뉴홍콩시티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인근의 갯벌의 보존 혹은 활용방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기초지자체의 설득작업이 가장 중요하다”며 “갯벌의 등재에 대한 주민 반대가 극심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주민 설득 작업과 갯벌의 활용방안과 보존형식 등을 살펴볼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